Terminal 2

[터미널/Terminal] iTerm2 개인 개발 서버 등록하기(작성중)

회사에서 윈도우 내에 xshell로 개인 개발 서버를 부여받아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다. 코로나로 인한 재택근무를 시행하면서, 필자의 노트북은 macOS여서 xshell 이 지원되지 않는다. 맥의 경우는 터미널을 그냥 사용하면 되는데, 이 세션 등록을 어떻게 할지 처음에 몰랐기에, 자세하게 적어보려고 한다. (까먹지 않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..ㅎㅎ) 첫번째로 윈도우 기준으로 xshell에서 세션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고, 이를 비교하면서 mac에서는 어떻게 할지, 그리고 추가적으로 자동으로 비밀번호 저장은 어떻게 하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. https://m.blog.naver.com/2zino/221720398885 1. xhsell에서 세션 등록하기

TIL 2022.07.22

리눅스(Linux) & 터미널(Terminal)

1. Linux 💡 운영체제란? Operation System. 전원을 켰을 때 나오는 소프트웨어 ex. 윈도우, mac, 리눅스 💡 리눅스를 왜 쓸까?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누구나 자유롭게 확인, 수정, 배포할 수 있는 코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! 가격 경쟁력 AWS(서버 컴퓨터)가 계속 실행될 수 있게 하기 편리함(무료이므로!) 자기 프로젝트에 맞는 개발환경에 맞추어 사용하기 용이 개발자가 배포되는 코드가 리눅스 환경에서 구현되기 때문! 2. Linux 핵심구조 2-1. 파일구조 root, /bin/, /home/ 에 대해 알아보자! root directory 모든 파일을 아우르는 디렉토리(최상위 경로) / 로 접근한다. home directory 유저 공간( C드라이브/Users/사용자명 ⇒ 바탕 화..

TIL 2022.07.18